카카오와 카카오 공동체가 2018년부터 매년 선보이고 있는 if(kakao)dev에서
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선보였던 기술 세션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
✔️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어떤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?
✔️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개발자들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지?
✔️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개발자들은 어떤 고민을 하지?
엔지니어라면 한 번쯤 고민해보는 주제죠.
'좋은 코드란 무엇일까?'
'어떻게 하면 코드 가독성을 높일 수 있을까?'
그러나 코드 가독성의 판단 기준은 개인차에 따라 의견이 분분합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엔지니어들은 끊임없이 고민하고 공유합니다.
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긴급하게 수정해야 하는 일들이 발생하기도 하고, 유지보수를 해야 하는 등
'남의 코드'를 봐야 할 일들은 흔하게 일어나기 때문이죠.
만약 '남의 코드'를 마주했을 때, 도통 이해하기 어려운 코드라면 많이 당황스러우시겠죠?
또, 반대로 '나의 코드'도 어느 엔지니어에게 당황스러움을 선사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이번에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'코드 가독성'을 '개선'했던 경험에 대해서입니다.
📍 주제 : 섬세한 ISFP의 코드 가독성 개선 경험
📍 발표자 : FE개발3팀 Coze
📍 소개글
ISFP의 가독성 개선 경험이 주제입니다.
프론트엔드 주니어분들을 대상으로 저의 가독성 개선 경험을 공유하였습니다.
크게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공유하였는데요.
ISFP가 다른 MBTI 유형에 비해 비교적 섬세하거나 꼼꼼한 면이 있어 정확한 단어를 고민하며 가독성을 개선해본 사례들과 ISFP의 감각적인 부분에 의존하는 경향에서 비롯되어 시각적으로 잘 보이는 형태로 개선해본 사례들을 코드 예시와 함께 소개하였습니다.
📍 if(kakao)dev2022 Coze 세션 [바로가기]
if(kakao)dev2022
함께 나아가는 더 나은 세상
if.kakao.com
'Events > if(kakao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f(kakao)dev2022] Technical Writing: 글로 하는 의사소통 (0) | 2022.12.09 |
---|---|
[if(kakao)dev2022] ㄷㄷㄷ: Domain Driven Design과 적용 사례 공유 (0) | 2022.12.09 |
[if(kakao)dev2021] 카카오웹툰 서비스 포스트모템 (0) | 2021.12.21 |
[if(kakao)dev2021] 카카오웹툰 작품 추천 목록 재구성 (0) | 2021.12.21 |
[if(kakao)dev2021] AI 장면 분석을 통한 비디오 인코딩 최적화 (0) | 2021.1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