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카오와 카카오 공동체가 2018년부터 매년 선보이고 있는 if(kakao)dev에서
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선보였던 기술 세션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
✔️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어떤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?
✔️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개발자들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지?
✔️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개발자들은 어떤 고민을 하지?
개발자들에게 레거시 서버란...?
레거시 시스템은 오래된 기술이나, 방법론, 컴퓨터 시스템, 소프트웨어 등을 의미하죠.
이런 레거시 서버를 걷어내는 작업은 다양한 방면을 고민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진행할 수 없는 작업 중에 하나입니다.
본 세션은 레거시 서버를 DDD와 MSA를 활용하여 적용했던 사례를 공유하며,
무엇을 사전에 고려했었고, 왜 우린 이 것을 선택하여 진행했는지, 어떻게 적용했는지를 이야기합니다.
📍 주제 : ㄷㄷㄷ: Domain Driven Design과 적용 사례 공유
📍 발표자 : 운영개발팀 Sherlock
📍 소개글
DDD란 어떤 것인지를 파트너사이트의 레거시 서버를 신규 포팅 서버로 MSA화 하면서 그 설계 및 구현 방식을 Domain을 중심으로 진행한 사례와 함께 이야기해보았습니다.
📍 if(kakao)dev2022 Sherlock 세션 [바로가기]
'Events > if(kakao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f(kakao)dev2022] Technical Writing: 글로 하는 의사소통 (0) | 2022.12.09 |
---|---|
[if(kakao)dev2022] 섬세한 ISFP의 코드 가독성 개선 경험 (0) | 2022.12.08 |
[if(kakao)dev2021] 카카오웹툰 서비스 포스트모템 (0) | 2021.12.21 |
[if(kakao)dev2021] 카카오웹툰 작품 추천 목록 재구성 (0) | 2021.12.21 |
[if(kakao)dev2021] AI 장면 분석을 통한 비디오 인코딩 최적화 (0) | 2021.12.21 |